올해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 화살머리 고지에서 6·25 전사자 143구의 유해가 발굴됐는데 6명만 신원이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사자 직계가족이 고령인 만큼 신원 확인율을 높일 수 있는 개선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가 중점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53년 전사해 올해 10월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고 송해경 이등 중사의 유해. <br /> <br />그 사이 직계가족은 대부분 세상을 떠났고 유가족은 양아들 1명과 외조카 6명뿐입니다. <br /> <br />4월부터 진행된 발굴 작업에서 6·25 전사자 143구의 유해가 발굴됐습니다. <br /> <br />[문홍식 / 국방부 부대변인 : 올해는 유해 330점, 유품 106종, 1만 7,000여 점을 발굴하였으며, 여섯 분의 국군전사자 신원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.] <br /> <br />아직 DMZ 내 수습되지 못한 전사자는 만여 명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신원 확인을 위해 유가족의 구강상피세포를 채취했지만 보관 기간은 5년 정도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20년 정도 보관 가능한 혈액 채취 등 유가족 DNA 확보 방법은 아직 도입 계획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군은 기존 방식이 거부감이 덜하기 때문이라고 해명하지만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. <br /> <br />[전사자 유해 신원 확인 작업 연구진 : 앞으로 과학 기술은 계속 발전을 하고 더 나은 유전자 분석 방법이 나오기 때문에 이때 오래 보관된 시료로 검사를 하게 되면 전사자 신원 확인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는….] <br /> <br />문제는 또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는 DNA가 훼손된 유해의 경우 신원 확인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는 STR 방식을 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군은 STR로 신원을 확인하지 못한 유해 1구를 비싸지만 정확도가 높은 SNP 기법을 시범 적용해 신원을 확인했지만 예산 부족을 이유로 SNP를 정식 분석 방법으로 채택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SNP를 도입한 제주 4·3 사건 희생자 발굴 사업의 신원 확인율은 15%로 높았고, 5·18 희생자 신원 확인 사업에도 도입이 확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0년 이후 발굴된 국군 전사자 유해는 만 구가 넘고, DNA 시료를 제출한 유가족은 4만 명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사자 신원이 확인된 비율은 1%에 불과한 가운데 직계 가족이 대부분 고령인 만큼 남은 시간이 많지 않아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12111083179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